HOME > 교육과정안내 > 교과목소개

교과목소개
교과목명 : 전기철도공학
이수구분 : 전선
학점 : 3
전기를 주동력으로 사용하여 일정한 궤도위를 운행하는 전기철도의 발전과정과 구성요소를 이해하여 선진기술 습득하고 국가기술자격에 대비하여 훈련한다.
목록
보드목록
교과목명 이수
구분
학점 교과내용(교과목개요)
도시철도시스템1 전선 3 전기철도와 관련된 전반적인 설비 및 운영 등, 철도신호제어시스템의 원리 및 기능에 대해 이해하고 신호설비 계통도, 중앙열차제어장치(CTC) 운영, 전력감시제어 시스템(SCADA), 통신설비계통도, 관제방송설비, 관제화상설비, 통합정보시스템 등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스킬을 습득 배양한다.
도시철도시스템2 전선 3 일반철도 및 도시철도 선로 이해,선로의 건축한계, 차량한계와 건축한계의 차이점 이해,선로와 도상 이해, 캔트와 슬렉에 대해 알아보고 열차가 곡선을 통과하는 원리에 대해이해,도시철도 통신장치의 종류에 대한 이해 등에 대하여 설명하여 관제사의 전반적인 업무의 지식과 스킬을 습득한다.
도시철도시스템개론 전선 2 운전일반, 차량일반, 신호제어설비, 전기설비일반, 토목일반, 정보통신, 관제장치 등에 대해 학습하여 도시철도시스템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도시철도시스템응용 전선 2 1.운전일반 : 도시철도 건설계획 및 운영기관 현황과 기관사 업무 특징 등 2.차량일반 : 전기동차구성, 전동차유지관리, 차종별 특징 등 3.전기설비일반 : 전기철도일반, 전기철도의 분류, 전차선 설비 및 변전설비 등 4.신호일반 : 신호제어설비, 신호제어설비의 분류 등 5. 기타 통신설비 등
도시철도시스템일반 전선 2 운전일반 확인하기, 차량일반 확인하기, 신호제어설비 확인하기, 전기설비 확인하기, 토목일반 확인하기, 정보통신 확인하기, 관제장치 확인하기
디지털공학실습 전선 3 최첨단 기술로 이루어진 철도차량시스템에서 필수인 디지털 기초이론을 학습하고 필요한 계측장비와 실습기기들을 다룰 수 있도록 하며 기본적인 반도체 IC를 이용한 실습을 통하여 기초이론의 기능과 동작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서 전기철도차량의 디지털 기술의 인지 능력이 향상된다.
비상시조치 전선 2 비상시조치 교과목은 열차운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배우는 교과목이다. 특히, 열차운전, 여객운수, 철도차량, 철도시설, 철도전기등 여러분야의 기능을 상호종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이해하여 열차운행을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운행하기 위한 기초이론을 배우는 교과목이다.
비상시조치 등 전선 2 인적오류와 대책, 이례상황별 대응, 전기동차 고장상황별 조치 등에 대해 학습하고, 열차운전 중 발생하는 이례상황에 대한 대응과 전기동차의 도중고장에 대한 응급조치 능력 배양
산업안전실무1 전선 2 재해에 대한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제반활동, 사고의 연쇄이론, 사고예방이가능한 안전관리 목표 수립에 대해 학습한다.
산업안전실무2 전선 2 철도관련 모든 직종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안전에 대한 분야 중 기계, 전기, 화공설비에 대한 이론과 실무사례에 대해 수업한다.
수리능력 교필 2 직장생활에서 요구되는 사칙연산과 기초적인 통계를 이해하고 도표의 의미를 파악하거나 도표를 이용해서 결과를 효과적을로 제시하는 능력을 기를수 있도록 한다.
시퀀스제어실습 전선 3 열차운전 및 제어시스템 에 요구되는 시퀀스 제어에 필요한 기초이론 및 응용을 학습함으로써 철도차량 제어와 열차운전의 제어에 대한 이해를 높여 실무 능력을 함양한다.
실용물리 전필 2 모든 과학의 기본으로 필요한 사물의 운동, 힘, 에너지, 물질, 열, 소리, 빛등을 다루는 교과목으로 이것을 철도공학적인 시스템의 작용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분야와 접목하여 철도시스템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용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교과목이다.
실용영어 교선 2 기본적인 영어 듣기 및 쓰기와 읽기 학습을 통해 영어를 제대로 알고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함.
안전공학 전선 2 . 철도안전 관리 정의 - 철도사고의 정의 - 철도사고의 결과 - 철도사고의 원인 . 철도종류별 사고장애 원인 및 분석 결과 . 국내외 철도안전 현황 . 국내외 철도안전의 문제점 . 철도안전대책 마련 . 철도안전관리의 정의
열차운영실무 전선 2 과천선 VVVF 전동차 운전실 제어장치의 종류 범위와 운전실 주요기기의 기능 및 특성을 학습하고 운전실 주요기기를 설계, 제작 한다.
열차운영실무1 전선 2 철도교통관제업무에 관련된 내용을 배우는 교과목으로 철도의 특성인 안전성, 신속성, 쾌적성 등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철도종사자, 철도차량, 선로, 역무설비, 전력설비등을 유기적인 관계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구성요소와 각각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열차운전 및 비상시조치 전선 2 열차운전 및 비상시조치 교과목은 열차운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배우는 교과목이다. 특히, 열차운전, 여객운수, 철도차량, 철도시설, 철도전기등 여러분야의 기능을 상호종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이해하여 열차운행을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운행하기 위한 기초이론을 배우는 교과목이다.
열차운전회로 전선 2 전동차 운전취급의 이해를 위해 기관 기동회로, 제동회로, 견인회로에 대해 학습한다.
영어회화기초 교선 2 세계화의 물결 속에 날로 더해가는 영어의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영어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 진다. 이에 영어의 네 가지 영역, 즉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중에서 기본적인 듣기 및 쓰기와 읽기 학습을 통해 영어를 제대로 알고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운동과 다이어트 교선 2 다이어트에 필요한 여러가지 운동방법 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습득하여 개인별로 적합한 운동방법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운전규칙 전선 3 국토교통부령에 의하여 제정된 규칙으로 철도차량운전규칙과 도시철도운전규칙으로 구성되어 광역철도차량과 도시철도차량에 대한 규칙을 정한 교과목이다. 철도종사자, 적재제한, 열차운전, 열차간의 안전확보, 철도신호, 표지에 관한 내용을 이해하여 열차 운행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교과목이다.
운전도면해석1 전선 2 운전자의 편의성, 안전성을 고려하고 인간공학적 측면에서 운전조작이 편리하도록 배치하며, 운전대의 계기 및 기기배치는 운전자가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배치하고 운전자에게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한다.
운전도면해석2 전선 3 운전실 주요기기를 이해하고 조건에 적합한 제어대를 설계 할 수 있다.
운전이론 전선 3 노선별 구배(기울기)의 운행제약요인, 선로구배의 고저와 장단에 따른 열차운행의 제약요인, 차종별 성능과 구배와 관계를 고려한 열차 운행제약 요인, 선로구배와 견인량수의 관계를 고려한 열차운행속도, 노선별 선로유효장을 파악한 최대 연결량수, 차량중량과 열차별 최대 연결량수, 노선특성에 따른 최대 연결량수, 동력차의 견인성능을 파악한 연결량수, 노선별 승강장 길이를 파악한 여객열차의 연결량 수에 대해 학습
운전이론 및 비상시조치 전선 2 노선별 구배(기울기)를 파악하여 최대의 운행제약요인, 선로구배의 고저와 장단에 따른 열차운행의 제약요인, 열차 운행제약 요인들을 파악하여 선로구배와 견인량수의 관계를 고려하여 열차운행속도를 정할 수 있다.
운전이론일반 전선 2 운전역학, 동력차의 특성과 견인력 성능, 열차저항, 제동이론, 운전계획, 경제운전, 철도차량의 진동에 대해 학습
인간과 시스템관계론 교선 2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 한계를 고려해 인간에게 적절한 형태로 작업을 맞추는 인간공학의 이론을 인지하며, 인간공학의 목표를 확인하여 직업성 장해를 예방하고 피로, 실수, 불안전한 행동을 감소 시킬수 있도록 한다
자기개발 교필 2 자기개발의 필요성과 방해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 및 자아인식을 통한 자신의 직업적 흥미와 가치관 수립, 경력개발을 바탕으로한 합리적 의사결정, 직업세계의 이해, 경력개발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한다.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전선 3 특고압 기기( 기기 구조 동작 회로), 차량 기동( 밧테리 전압 가압 회로, PAN, MCB,ADCG, 등 기기 동작 회로), 주회로 기기 및 동작(유도 전동기, 역행 및 회생제동 회로)
전기동차1 전선 3 전기동차 운전에 필요한 차량의 구조 및 특성을 이해하고 주요장치 및 특고압장치,주회로장치,고압회로장치,저압보조장치, 제동장치의 전반적인 회로를 습득 배양하고 다양한 운전보안장치의 역할과 기능을 정확히 알고 취급할 수 있도록 취급능력을 배양한다.
전기동차2 전선 2 과천선 SIV의 기능 주요구성장치에 대해 이해하고 SIV의 연장급전시 취급법에 대해 숙지하여 실무에 적용,출입문장치의 공기흐름 및 전기회로도 이해,객실등 회로도 이해하고 취급법을 숙지 등 다양한 운전보안장치의 역할과 기능을 정확히 알고 취급할수 있도록 취급능력을 배양한다.
전기철도공학 전선 3 전기를 주동력으로 사용하여 일정한 궤도위를 운행하는 전기철도의 발전과정과 구성요소를 이해하여 선진기술 습득하고 국가기술자격에 대비하여 훈련한다.
전기회로실습 전선 3 철도운전 직무 수행 있어, 전기철도 차량을 운전을 위한 학생들에게 가장 기초가 되는 회로의 동작 원리 및 장비의 사용방법을 익히기 위해 기본적인 전기전자이론과 병행하여 실험 학습을 통하여 전문능력을 증진하고자 한다.
전동차구조 및 기능1 전선 3 전동차 특고압 기기/주회로 기기/고압회로 기기/제동관련 기기 및 구조 및 기능에 대한 교육과목
전철전력시스템 전선 3 전기차량 운행에 필요한 전차선로 설비에 대한 구조와 기능, 운행 구간의 절연구간 위치와 종류 그리고 전원방식을 포함한 전철전력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철도차량 운전의 전문성을 향상시킨다.
차량전기1 전선 3 철도기관사가 갖추어야할 기본소양 중 전동차 전기분야 일반사항 이해한다.
차량전기2 전선 2 철도기관사가 갖추어야할 전동차의 주요장치 이해 및 전기분야의 일반적인 지식습득
창업과 진로 교선 1 올바른 직업관 햠양하여 창의적 사고를 겸비한 21세기형 직업인 양성을 위한 과정이다.
철도관련법 전선 3 철도관련법 교과목은 철도산업발전기본법을 모법으로한 철도안전법, 철도안전법시행령, 철도안전법시행규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 철도차량운전규칙, 도시철도운전규칙이 있으며, 철도안전법령을 포함하여 철도차량운전면허 취득시 필요한 이론 교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철도관제 전선 2 관제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고 취급요령 통해 시스템 장애를 조할 수 있다.
철도시스템일반 전선 2 선로일반, 신호일반, 전차선일반, 차량일반, 통신일반에 대해 학습
철도신호 전선 3 철도차량에 대하여 신호, 전호, 표지를 이용하여 진행여부를 결정하는 요소에 관한 시스템을 이해하는 교과목이다.
철도차량 캡스톤디자인 전선 3 철도차량 분야별 유지보수 괸련되 업무의 개선사항 아이디어 상신, 아이디어의 활성화(인큐베이팅), 아이디어 제작과정 학습(분석단계, 설계단계, 구축(제작)단계, 시험(테스트)단계)
철도차량 캡스톤디자인2 전선 3 철도차량 분야별 유지보수 괸련되 업무의 개선사항 아이디어 상신, 아이디어의 활성화(인큐베이팅), 아이디어 제작과정 학습(분석단계, 설계단계, 구축(제작)단계, 시험(테스트)단계)
철도차량공학 전선 2 도시철도 차량 중 저항제어 전동차, 쵸퍼제어전동차의 차량 구조 및 기기 작용 이해 로 기관사 면허 취득 및 해당 차량 운전 교육
철도차량공학1 전선 2 1. 차종별 제동시험을 위한 운전실 기기(제동변)를 취급할 수 있으며 공기압력계, 운행정보시스템(모니터)을 통하여 제동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2. 이례상황발생으로 구원연결 시 연결차종별에 따라 각종 차단기(RSOS, RMS 등)를 조작할 수 있다.
철도차량공학2 전선 2 도시철도 차량 중 저항제어 전동차, 쵸퍼제어전동차의 차량 구조 및 기기 작용 이해 로 기관사 면허 취득 및 해당 차량 운전 교육
철도차량관리(PBL) 전선 2 전동차 전기제어장치(계전기)의 개념 및 계전기의 원리와 응용범위를 학습하는 교과목
철도차량기계공학1 전선 3학점 철도차량에서 적용된 기계요소들에 대한 역학적(재료역학, 유체역학, 기계설계공학 등) 관계에 대하여 이해하고 각각의 수명한계에 대한 고찰을 한다
 
 페이지 [ 1 / 2 ], 게시물 [ 오늘 0 / 총 61 ]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유튜브
Copyright ⓒ2015 Cotholic Sangji College All right Reserved.
경상북도 안동시 상지길45 가톨릭상지대학교 철도운전시스템과 Tel 054-851-3220    [개인정보처리방침]